번호 | 자료명 | 첨부 | 저자 | 발행기관 | 발행일자 | 조회수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2361 | 동북아 다자적 협력 질서 변화와 6자 회담 : 다자적 협상과.. | 최종건 | 서울대학교.. | 2012-00-00 | 10 | |
2362 | 독일통일 후 동서독 교육통합 사례 연구 : 학제, 교육과정,.. | 강구섭 | 한국비교교.. | 2012-00-00 | 64 | |
2363 | 정치문화 측면에서 본 동서독 통합 | 문태운 | 호남대학교.. | 2012-00-00 | 29 | |
2364 | 코리아 정책저널(Korea Policy) 제12호 2012년 5월/6월 | 코리아정.. | 코리아정책.. | 2012-00-00 | 11 | |
2365 | 사회과학 | 김일성 | 북한 | 2012-00-00 | 22 | |
2366 | 국제법의 법원(法源)으로서 '1992년 남북기본합의서'의 성격 | 류병운 | 홍익대학교.. | 2012-00-00 | 18 | |
2367 | 남북한 형사법통합과 공소시효의 문제 | 김재봉 | 전북대학교.. | 2012-00-00 | 50 | |
2368 | 남북한 형사법통합과 공소시효의 문제 | 김재봉 | 전북대학교.. | 2012-00-00 | 50 | |
2369 | 남북한과 양안의 4자간 경제구도변화와 법적 대응 방안에 관.. | 김명아 | 한중사회과.. | 2012-00-00 | 21 | |
2370 | 남북합의서의 법제화 방안 연구 | 정일영 | 제주대학교.. | 2012-00-00 | 23 |